학과안내
전기과
Electric
전통과 첨단 기술의 융합을 통해
미래산업을 이끌어가는 전기과
- 학과사무실032-610-3400
- 학과장 032-610-3401
학과소개
전기공학은 IT산업의 뿌리학문으로 신소재, 환경, 기계, 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 기반기술을 제공하는 중요한 학문이다. 전기과에서는 전통적인 전기공학 이론과 마이크로프로세서, 컴퓨터프로그래밍, 전기CAD, HMI, 신재생에너지 등 현장중심의 교육과정을 통하여 지역사회 발전에 이바지할 인성과 창의력을 갖춘 인재 양성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교육목표
전기공사 및 자동화 분야에서 지역사회 발전을 선도하는 창의와 인성을 갖춘 전문기술인 양성을 목표로 한다.
인재양성유형
인재양성유형
인재양성유형 |
직무 |
직업개요 |
전기공사 및
자동화기술자 |
전기공사 |
전기사업자로부터 전기를 수전하고 부하에 적합한 전압으로 변환하여 구내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수변전설비, 예비전원설비, 배선설비, 동력설비, 조명설비, 전기방재설비, 정보통신설비 등에 대한 설계를 수행하고 안전하게 전기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인입 전선로, 전원설비, 전기공급설비, 부하설비 및 방재설비 등을 시공, 유지보수 하는 일을 수행 |
전기자동화 |
제어시스템의 원리를 이해하고 시설물 현황 및 프로세스 공정의 특성을 분석하여 시스템의 성능이 최적으로 발휘되도록 자동화 시스템을 구성하고 유지정비가 가장 효율적으로 운영관리 될 수 있도록 제어시스템을 설계하는 일을 수행 |
교육과정 로드맵
구분 |
1-1 |
1-2 |
2-1 |
2-2 |
3-1 |
3-2 |
직무 |
연계자격증 |
교양과정
|
|
|
|
|
|
|
|
|
기초외국어능력 1
(영어) |
기초외국어능력 2
(영어) |
|
|
|
|
기초 수학 |
의사소통능력 |
대인관계 능력 |
|
|
|
컴퓨터 활용 |
사회봉사 |
|
|
|
|
전공기초 |
C언어 기초 |
전기수학 |
|
|
|
|
|
진로탐색 및
자기개발 |
|
|
|
|
직업탐색 및
자기개발 |
전기자기학 |
|
|
|
|
|
전공 |
회로이론 |
전기회로실습 |
제어공학 |
자동제어
실습 |
데이터통신
기초 |
|
전기제어 |
전기산업
기사 |
|
프로그래밍실습 |
전자회로실습 |
|
기계공학
기초 |
현장실습 |
|
전자회로 |
마이크로
컨트롤러실습 |
|
전기와 창업 |
|
디지털공학 |
마이크로
프로세서 |
PLC제어
실습 |
HMI 실습 |
캡스톤디자인(1) |
캡스톤디자인(2) |
|
시퀀스제어 실습 |
전기CAD |
전기 CAD
실습 |
전기기기
실습 |
전기기기
응용실습 |
|
|
전기기기 |
전력전자 |
전기발생
공학 |
신재생에너지
공학 |
전기공사 |
전기공사
산업기사 |
|
|
전력공학 |
전기응용 |
|
|
|
|
|
전기재료 |
전기공사
견적 실습 |
전기설비
시공실습 |
|
|
|
전기설비
기준 |
전기설비
설계 실습 |
|
|
|
|
전기안전 |
|
|
|
|
|
|
|
|
취득자격증
- 전기산업기사, 전기공사산업기사, 전기철도산업기사, 소방설비산업기사,산업안전산업기사
-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입학 시 기사자격증 시험 응시 가능
취업분야
- 국영기업체 : 한국전력공사, 한수원, 수자원, 코레일, 한국전력거래소, 지역난방공사, 전기직 공무원
- 건설업체 : 대형 및 중소형 건설업체
- 전기공사 및 안전관리 업체 : 전기공사업체, 전기안전관리업체, APT전기관리직
- LED조명 및 디스플레이업체, 산업전자 응용기기의 개발 및 생산 업체, 신재생에너지 관리 업체, 전기철도 시공 및 유지관리 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