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pecial Interview
  • MZ서포터즈, 미래 인재와 기업을 잇다 오형민 부천융합지원센터 센터장

  • 부천융합지원센터는 올해 6월부터 ‘기업탐방 MZ서포터즈’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생생한 기업 현장의 모습을 영상 콘텐츠로 담아내는 활동을 통해 기업과 학생 모두 ‘윈윈’ 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란 기대감을 낳고 있는데요. 오형민 부천융합지원센터장(비서사무행정학과 교수)을 만나 MZ서포터즈의 운영 취지를 들어봤습니다.
  • 왼쪽부터 MZ서포터즈 이예림(항공서비스과 22학번), 최지유(비서사무행정학과 21학번), 김윤수(식품영양학과 21학번), 박지영(비서사무행정학과 22학번), 송기동(영상&게임콘텐츠과 22학번), 이다솜(컴퓨터소프트웨어과 21학번), 오형민 부천융합지원센터장
  • 생생한 기업 현장을 영상 콘텐츠로

    부천융합지원센터는 캠퍼스 내부가 아닌, 부천의 기업들이 밀집된 부천테크노파크 내에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대학과 기업을 연결하는 플랫폼이자 지역거점센터로서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게되면 이내 수긍이 가는데요.

    부천융합지원센터는 취창업처 소속으로 재학생 현장실습, 취업 연계, 산학 연구과제 발굴, 브랜드협의체 운영 등을 통해 부천대학교와 산학협력을 추진하는 동시에 지역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의 마케팅과 판로 지원 등에 적극 협력해왔습니다.

    올해 부천융합지원센터는 대학혁신지원사업의 하나로 ‘기업탐방 MZ 서포터즈’ 운영을 시작했는데요. 이는 전국 대학을 통틀어 최초입니다. 기업탐방 MZ서포터즈는 부천대학교 가족회사, 부천대학교 산학협력 협약 공공기관과 연구기관 등을 방문해 생생한 현장을 탐방하고 해당 기업에 재직 중인 선배 혹은 CEO를 인터뷰한 뒤 이를 영상 콘텐츠로 만드는 활동을 합니다. 서포터즈의 명칭에 ‘MZ’를 앞세운 이유를 두고 오형민 부천융합지원센터장은 MZ세대로서 미래를 이끌어가게 될 부천대학교 학생들의 역할을 부각시키기 위한 취지라고 언급했습니다.

    “MZ세대를 두고 ‘어리숙한 사회초년생’, ‘개인주의가 강한 세대’로 보는 시선이 많은데 그러한 편견을 깨는 서포터즈를 만들고 싶었습니다. 기성세대와 다른 관점으로 기업을 바라보고 대담하면서도 통통 튀는 영상 콘텐츠를 제작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지난 6월 발대식을 갖고 활동을 시작한 MZ서포터즈는 비서사무행정학과, 영상&게임콘텐츠과, 항공서비스과, 컴퓨터소프트웨어과, 식품영양학과 등 다양한 학과 학생 6명으로 구성됐습니다. 어떤 역량과 자격을 갖춘 학생들인지 그 면면이 궁금해집니다.

    “서포터즈의 성격상 콘텐츠 기획력이나 편집 능력도 중요하지만 학생 개개인의 장점이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팀을 구성하는 데 가장 신경을 썼습니다. 서로 부족한 점을 채워주면서 함께 성장하는 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취·창업 준비를 위한 든든한 발판

    MZ서포터즈로 활동 중인 이예림(항공서비스과 22학번) 학생은 다양한 기업을 탐방하며 기업이 추구하는 인재상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겠다는 기대감에 서포터즈에 지원했습니다. 무엇보다 기업 대표와 직원을 상대로 직접 인터뷰를 할 수 있다는 점에 끌렸습니다.

    “기업 대표님과 직원분들을 만나 인터뷰를 하는 과정에서 의사소통 능력을 키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억에 남는 인재로 거듭나는 방법을 직접 경험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고 생각했습니다.”

    최근 MZ서포터즈는 부천 지역 중소기업인 시스트로닉스와 더모임컴퍼니를 방문해 현장을 둘러보고 실무자를 인터뷰했는데요. 이다솜(컴퓨터소프트웨어과 21학번) 학생은 기업 현황을 눈으로 직접 확인하는 동시에 취업과 직무 관련 사항을 탐색할 수 있어 뜻깊은 시간을 보냈다고 말했습니다.

    “실제로 기업을 방문해 보니 유익한 점이 많았어요. 인터뷰를 통해 직원들의 직업관을 들여다보고 사내 복지에 대해서도 상세히 들을 수 있어 좋았습니다. 취업 시 회사가 필요로 하는 나의 역량과 내가 회사에 바라는 점들을 정리하는 기회가 된 것 같습니다.”

    오 센터장은 앞으로 학생들이 서포터즈 활동을 통해 기업 현장을 누비며 살아 있는 경험을 함과 동시에 풍부한 콘텐츠 제작 역량을 쌓을 수 있도록 많은 기회를 제공할 생각입니다. 이는 부천대학교와 지역사회의 가교 기능을 하는 부천융합지원센터의 핵심 역할이기도 하죠. 부천대학교 재학생들이 취·창업의 발판을 만들어 가는 데 부천융합지원센터가 더 많은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해봅니다.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