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lose 業
  • 뉴미디어 매체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디지털 콘텐츠 디자이너

  • 새로운 디지털 매체의 등장과 환경의 변화로 디지털 콘텐츠 디자이너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동영상, 이미지, 음악, 멀티미디어 서적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는 디지털 콘텐츠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더욱 주목받는 분야로 떠올랐는데요. 끊임없이 변화하는 디지털 매체를 이해하고 크리에이티브를 발휘하는 디지털 콘텐츠 디자이너의 세계를 조명합니다.
  • 디지털 콘텐츠 디자이너는 무슨 일을 하나요?

    디지털 콘텐츠 디자이너란 시각 디자이너, UI·UX 디자이너, 웹 디자이너 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다변화하는 매체 환경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디지털 디자인 전문가입니다. 디지털 게임, 디지털 영상, 애니메이션, 인터랙티브 디자인 콘텐츠 등을 기획 및 연출, 디자인하며 이를 웹, 모바일, 소프트웨어, 사물인터넷, 실감 콘텐츠, 메타버스 등의 매체로 제작합니다.

    시각 디자이너는 시각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콘셉트에 맞는 아이디어를 발상해 디자인 요소를 시각화하며, 매체별 다양한 제작기법을 활용해 창의적으로 표현합니다. 전문 분야에 따라 광고디자인, 편집디자인, 서체(타이포그래피)디자인, 일러스트레이션, CI/BI디자인, 캐릭터디자인, 포장(패키지)디자인 등으로 구분됩니다.

    UX(User eXperience) 디자이너는 사용자 중심의 사고로 사용자가 웹사이트에서 원하는 것을 쉽게 찾고 사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모델을 디자인합니다. UI(User Interface) 디자이너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정보구조를 설계하고 비주얼 디자인 콘셉트를 도출합니다. 매체 환경에서 최적의 색상과 버튼, 모양, 글꼴, 이미지 등을 조합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일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콘텐츠 디자이너의 진출 분야는?

    정보 전달을 위해 시각적 이미지의 기능이 중요해지면서 디지털 콘텐츠 디자이너의 역할이 더욱 확대되고 있습니다. 디지털 콘텐츠 디자이너가 되기 위해서는 전문대학 및 대학교의 디지털미디어디자인과, 시각디자인 관련 학과, 사설 디자인학원 등에서 지식과 기술을 배울 수 있습니다.

    관련 자격증으로 컴퓨터그래픽스운용기능사, 시각디자인산업기사, 시각디자인기사, 웹디자인기능사, 컬러리스트기사, 컬러리스트산업기사, ACA 국제자격증, GTQ포토샵, GTQi(일러스트), GTQid(인디자인), 제품디자인산업기사 등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졸업 후에는 그래픽 디자인 분야(출판/편집대행사, 광고디자인 기획사), 3D 그래픽스 분야(3D캐릭터 개발사, VR 콘텐츠 개발사), 영상 디자인 분야(CF 프로덕션, 영상 크리에이터), 인터페이스 디자인, 브랜드 디자인, 창업 등 다양하게 진출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디자인 고유의 역량이 다른 분야와 결합한 창의 융합형 디자이너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부천대학교 디지털미디어디자인과


    부천대학교 디지털미디어디자인과는 디지털 매체 환경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디지털 콘텐츠 디자이너를 양성합니다. 체계적인 기초 디자인 교육을 시작으로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의 비주얼 커뮤니케이션, 사용자경험디자인(UX), 사용자인터페이스디자인(UI), 서비스디자인, VR, 모션그래픽 등의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3D 디지털 모델링 교육 과정을 통해 3D 프린팅 분야와 운송디지털모델링 분야로 진출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합니다. 3년제 전문학사 과정을 졸업한 후에는 4년제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4학년 과정)을 통해 학사학위 이수 및 대학원에 진학할 수 있는데요. 산업현장의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실무에 강한 창의적 디자이너가 되는 첫걸음, 부천대학교 디지털미디어디자인과와 함께해보는 건 어떨까요?

    디지털미디어디자인과 바로 가기
  • 이전
  • 다음